반응형

오늘은 방송에서 많이 나오는 정보 바로 킬체인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킬체인은 우리나라 방어 체계를 설명하는 단어로 우리나라와 북한과의 관계를 설명하기도 합니다 자세한 킬체인 뜻 알아보겠습니다.

 

 

킬체인의 역사 개념의 시작

최초의 킬체인 개념이 잡힌 시기는 91년도 걸프 전쟁에서 스커드와 TEL[이동식 탄도탄미사일]을 제압 하기 위하여 미공군에서 긴급 표적 혹은 TCT 목표물을 대한 표적화 과정 체계를 만든게 기원이 됩니다

걸프전 전쟁 당시 이동식 탄도탄 발사대를 통한 스커드 공격을 많이 받았습니다 이로인해 다국적국은 즉각 스커드를 제압하는 문제가 시급했습니다 당시에는 PAC-2를 배치하여 대응했지만 여러가지 문제로 인해 공격 공백이 발생하였고 이러한 공백을 없애기 위한 실시간 타격 체계가 요구되면서 시한성 긴급표적 혹은 TST체계를 확립하게 됩니다

 

킬체인의 초기

킬체인의 초기 당시 성과가 높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미공군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킬체인 체계화를 통해서 개념화를 하였고 킬체인의 발전으로 이어집니다 킬체인 방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탐지(Find) → 식별(Fix) → 추적(Track) → 무기선정(Target) → 교전(Engage) → 평가(Assess)

 

이 개념을 체계화하여 최대 30분 / 적정15분 / 최소 10분 내 타격, 비대칭전력을 제압하는 데 그 목적을 두는 형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한국형 킬체인이란?

한국형 킬체인은 아래와같이 4가지 방식으로 크게 구분이 됩니다 또한 사용무기 또한 알수 있습니다

한국형 킬체인 어디까지 발전했나?

한국군도 킬 체인 체계 도입과 더불어 여러 가지 체계 및 합동성 등을 구축해 나가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갈 길이 멀다. 당장 미군의 ADOCS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 한국군 합동지휘통제체계(KJCCS, Korea Joint Command & Communication System)의 2차 성능개량 사업이 2015년에 완료되어 막 돌아가기 시작한 터라, 능숙한 임무수행은 당분간 무리인 상황이다.


가장 눈에 띄는 단점은 정보자산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북한에서 발사되는 탄도탄은 발사 준비시간이 1시간 정도, 장사정포는 30분 정도이기 때문에, 실시간 정보자산의 활용이 중요하다. 따라서 한국군은 한국형 정보체계가 전력화될 2023년 이전까지는 주한미군과 미군의 정보자산을 연합하여 활용할 생각이었지만 그게 MD 참여 이슈와 연결이 되어 있어, 별 진전이 없다는 것이 문제다.

 

 

물론 한국군도 글로벌 호크 블록30을 도입하는 등 정보자산을 천천히 늘려 가고는 있지만, 글로벌 호크만으로는 전 영역의 커버는 어려우며, 백업을 해줄 전략 중고도 무인정찰기와 군단급 무인정찰기는 전력화되기까지 오랜 시간이 필요하다. 이런 상황이라 한국군의 탐지-식별-추적 영역에서의 능력은 그야말로 암담한 상태이다. 그리고 표적에 대한 타격 수단을 선정할 때 확전을 우려하는 성향을 보이는 한미 양군의 합동지휘통제체계가 제대로 기능을 발휘 할 지 미지수라는 점도 문제이다.

대한민국 국군에서 킬체인이란 사업추진, 예산 편성에 있어서 마법 같은 단어이다. 어지간한 비싼 방산사업이나 도입사업에 킬 체인 시스템의 완성도를 위해서 필요하다고 언급하면 여러모로 타당성에 영향을 간다는 것인데, 그 정도가 우리나라 공중급유기 도입사업 마저 킬체인에 대한 언급이 나올정도다.

 

 

물론 공중급유기가 킬체인과 연관이 없는 것은 아니나, 지원기 도입 사업 소요제기 명목에 킬체인이 언급된다는 점만 보더라도 우리나라가 얼마나 북한의 장사정포와 탄도미사일에 대한 위협감과 그리고 그에 대한 대비로 킬체인에 얼마나 목을 매고 있는지 알 수 있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오늘은 킬체인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하였습니다 간추려서 딱 단어로 표현한다면 북한 미사일 위협을 미리 탐지해서 우리정부가 먼저 타격하는 체계라고 볼수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우리나라 말이 어렵다고 외국인들에게 알려져 있습니다 물론 한국사람들도 우리나라 단어들중 많이 햇갈려 하는 것들이 있습니다 그중 대표적인 단어가 바로 뵐게요 봴게요 뵈도 봬도 라고 생각 됩니다 오늘은 이러한 단어의 맞춤법을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자그럼 뵐게요 봴게요 정답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어르신을 오랜만에 뵈니 좋습니다 [정답]

어르신을 오랜만에 봬니 좋습니다 [틀림]

 

사장님 내일 뵐게요 [정답]

사장님 내일 봴게요 [틀림]

 

 

약속대로 내일 뵈도 되겠죠? [정답]

약속대로 내일 봬도 되겠죠? [틀림]

 

내일 5시 정도에 뵙겠습니다 [정답]

내일 5시 정도에 봽겠습니다 [틀림]

 

 

쉽게 단어를 구분할수 있는 방법은 정답만 외우면 됩니다 뵐게요 봴게요 중 뵐이 맞는 단어입니다 바른 맞춤법은 뵐게요 뵈로 생각을 정리하시면 됩니다 쉽게 단어를 정리해서 알려드렸습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반응형
반응형

많은 분들이 찾는 정보 바로 국회의원 월급과 연봉정보입니다 우리손으로 뽑은 국회의원이 일을 잘하면 월급 연봉에 대한 궁금증이 없지만 일을 못한다면 세금이 아깝다는 생각이 들면서 국회의원 월급과 연봉이 궁금해 집니다 저 또한 이런 생각으로 국회의원 월급 연봉 정보를 아래 준비했습니다.

 

 

많은 분들이 코로나로 인해 피해를 보고 있어서 그런지 국회의원들 월급 반납 또는 삭감이란 청원을 신청한적이 있을정도로 많은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2020년 기준으로 우선 살펴보겠습니다 월평균액은 1265만원 연봉으로는 1억 5187만원정도 됩니다

 

 

2022년은 몇십만원정도 더 올랐을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국회의원 월급 연봉은 1200만원 이상 받는다고 보시면 될것 같습니다 다들 느끼시는 공통적인 감정은 바로 국회의원 월급인 너무 많다는 것 입니다

 

 

국회의원 월급은 이정도 이지만 대통령과 장관들의 월급 또한 궁금해 지실텐데요 자세한 대통령 월급 장관 월급은 아래를 확인하세요

 대통령 월급 연봉 현직기준 얼마일까 [연금포함]

 

대통령 월급 연봉 현직기준 얼마일까 [연금포함]

대선기간 동안 적은 차이로 대통령이 당선되면서 많은 말들이 있었습니다 가장 유력한 후보로 거론되던 윤석열 대통령이 당선되었습니다 전국 투표율은 무료 77% 나 되었습니다 많은 분들이 궁

m-rm.tistory.com

 

반응형
반응형

 

정치권에 대한 소식들이 날마다 번지면서 많은 분들이 여당 야당 뜻을 궁금해 하십니다 뉴스에서 정말 많이 나오는 만큼 여당 야당 뜻을 알아야 올바른 뉴스해석이 나오는데요 오늘은 그 뜻을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여당이란?

자그럼 순서대로 여당부터 알아보겠습니다 여당은 정치 체계 내에에서 정권을 잡고 있는 정당을 말합니다 한마디로 여당을 집권에 참여하는 당으로 정권을 잡고 있는 당입니다 여당을 제외한 모든 당 세력을 야당으로 부릅니다

 

 

야당이란?

야당을 간략하게 설명드리면 정권을 잡고 있지 않은 정당을 의미 합니다 다시한번 정리하자면 정권을 잡으면 여당 정권을 잡히 못해 정권 밖에 있는 당이 야당입니다 다른나라도 기준이 동일하나 대퉁령 중심제를 지향하는 나라에서 사용하는 단어가 여당 야당입니다 자세한건 아래에서 설명드릴게요

정권을 잡지 못한 당이란?

이해하기 쉽게 설명을 드리면 대통령 중심제를 체택한 국가에서 사용하는 단어로 현직 대통령이 소속되어 있지 않은 모든 정당을 야당이라고 합니다 또는 의원 내각제 체제 아래 수상을 배출 못하거나 내각에 참여하지 않은 모든 정당을 말합니다 일본은 여기에 해당하겠습니다

여당의 독선을 견제하는 역활을 하며 다음정권을 차지하기 위해 노력하는 정당이 바로 야당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지금 많은 당이 야당으로 있습니다 다음 정권이 얼마안남은 이시기에 여당 야당 뜻을 모르면 다음 선거 때에도 올바른 선택을 하기에 어려울수 있으니

지금같이 여당 야당 뜻을 보시고 원하는 선택을 하시기 바랍니다 참고적으로 여당 야당의 도움이 되는 글이 아래에 있습니다 오늘하루도 힘내세요~!

 

 진보 보수 뜻 1분정리

 

진보 보수 뜻 1분정리

요즘 정치권이 시끄러운건 아무래도 대통령 선고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있기 때문인것 같습니다 또한 뉴스에서 코로나 통제로 인한 여러가지 많은 정책들의 충돌로 인하여 정치의 관심이

m-rm.tistory.com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