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가격리 지원금은 다른 지원정책과는 다른 성격을 띄고 있습니다 코로나 확진이 되어 보건당국으로 부터 자가격리를 통보받은 사람에게 지급 되는 제도이며 유급휴가지원금 130,000원 일주일 기준 20,000원 금액이 지급 되도록 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코로나 자가격리 지원금은 3월 16일 부터 1인당 100,000원이 지급 되며 한가구에 2명이상 확진되는 경우 150,000원이 지급됩니다 유급 휴가 비용은 4,5000원이 지급되도록 변경되었습니다

 

온라인 신청불가 [관련 공지내용 보기]

 

 

반응형
반응형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조회 얼마를 받을까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조회방법을 자세하게 알아봅시다

많은 분들이 내가 수령액을 받을때쯤 국민연금 예상수령액이 얼마인지 궁금하실텐데요 이러한 궁금증은 20대부터 50대까지 모두 폭넓게 궁금한내용이며 특히 20대와 30대는 자신이 수령나이가 되었을때 받을수있을가 라는 생각으로 많이 찾고 있습니다 자 그럼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조회 아래에서 확인하세요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2016년 11월 30일부터 개정되었는데...

우선 수령액 나이가 바뀌었다고 말씀드릴수 있습니다 국민연금은 4대보험 가입직장에 근무하는 분들은 모두 의무적으로 납부하고 있습니다 개정전에는 만60세가 되면 받을수 있었으나 지금은 만 65세로 변경이 되었습니다

공공기관 근무자들 같은 경우 퇴직연령이 이에 따라서 연장이되는등 법적으로 개정이되면서 국민연금 예상수령액도 바뀌었으며 받을수 있는 나이도 상향되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출생연도에 따라 받기 시작하는 나이연령이 틀립니다 출생연도 기준 연금 수령개시연령은 아래에서 설명드리겠습니다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출생연도 기준 연금수령

출생연도 1953~1956 =만 61세 / 1957~1960 =만 62세 / 1961~1964 =만 63세 / 1965~1968 =만 64세 입니다

69년도 이후부터는 만 65세 기준이 적용이 됩니다 올해를 기준으로 들어볼까요 올해의 국민연급 수령이 가능한나이는 만62세인 58년생 입니다

 

또한 만58년생은 5년전부터 조기노령연금 제도를 이용했다면 연금을 수령이 가능하였습니다 조기노령연금 조건을 혹시 궁금해 하실가봐 알려드립니다 이제도는 최소 10년 가입기간과 소득이 없이 생활을 하여야 가능한조건이 있습니다 조건도 까다로운데다가 단점도 존재합니다

 

 

조기노령연금은 연 6%의 감액이 적용되어 지금되며 5년기준 30% 가 감면되어서 총받아야 할금액에서 70%만 받을수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30%를 받을수 없다고 생각하면 꽤큰 금액입니다 정말 절실하게 연금을 받아야 하는 분들이 아니라면 기존 국민연금 시간을 모두 채우는게 좋다고 생각되네요

또한 조기노령연금의 반대되는 제도도 있습니다 바로 개시연령보다 늦게 지급받게 신청하는 제도인데요 이는 최대 5년까지 1년당 7.2% 총 36% 많은 연금금액을 받을수 있으니 어느정도 여유가 있으신 분들이라면 늦춰서 받으면 더많은 혜택을 받을수 있습니다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납입기간 설명

국민연금 납입기간은 2020년 기준 60살까지 국민연금을 냅니다 시작은 만18세 부터 60세 미만입니다 대한민국의 국민이라면 의무가입대상입니다 소득이없는 사람도 무조건 내야하는건 아닙니다 27세 미만인 경우 학생 군복무와 소득이 없는 경우 의무가입의 대상이 아닙니다

 

국민연금 납부예외 신청

만약 소득이 없는 상태로 취직을 준비중 실직중이라면 국민연금 납부예외 신청을 하시면됩니다 보험료 납부에 대한 면제를 신청하면 그기간에는 납부를 하지않아도 됩니다 하지만 납부를 하지않는 기간을 가입기간에 미포함되면서 수급연령이 되었을시 연금액이 줄어드는건 당연한겁니다

 

 

 

 

 

국민연금  납입기간 10년을 못채운 경우에는?

노령연금을 받기위해서는 최소 국민연금가입기간 10년을 채워야하는데 못채운경우라면 국민연금 임의계속가입의 방법을 통해서 추가로 국민연금 가입 납입후 65세까지 국민연금에 가입하여 혜택을 받을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때 10년을 채우지 못하고 수급연령이 되어 임의계속가입을 이용하지못하면 반환일시금을 신청하여 수령하게 됩니다 이후 임의계속가입을 다시 신청할수는 없습니다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수령액조회 자세한 안내 PC조회 방법

국민연금은 소득수준에 따라서 받는 국민연금 예상수령액은 상이합니다 국민연금을 납부하고 있다면 국민연금 예상수령액은 언제든 조회가 가능한데요 현재 가능방법 크게 두가지입니다 하나는 국민연금 홈페이지에서 할수 있으며 다른방법은 모바일 어플을 이용해서 조회할수 있습니다

 

 

홈페이지에서 조회하는 방법부터 설명드리겠습니다 사이트는 아래에 첨부하였습니다 우선 접속후에는 이러한 화면이 나오는데여 바로 조회할수 있도록 첨부했습니다

여기서 예상연금액 조회 서비스를 누르게되면 공인인증서 로그인으로 로그인해서 나의 연금액을 알수 있습니다 공인증서 또는 카카오페이로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주민번호도 필요합니다

조회시나오는 화면입니다 금액이 있으신경우 아래에서 자세하게 금액이 나옵니다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모바일 조회방법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모바일에서 조회하는 방법은 우선 앱스토러오 접속을 하셔야 합니다 국민연금을 조회하셔서 내곁에 국민연금 어플을 다운받으세요

로그인 화면이 보이실텐데요 카카오페이로 인증 로그인하면 간편하게 조회가 가능합니다 다른 로그인 조회방식은 공인인증서가 휴대폰에 있어야 조회가 가능합니다

조회시 위에는 이러한 화면이 나오며 아래에는 세전 금액과 세후 금액이 나옵니다 또한 수령시작년월일도 나오니 확실하게 얼마가나오는지 언제부터 지급받을수 있는지 확인이 가능합니다

오늘은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국민연금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보았습니다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PC조회 사이트와 추가적인 자료들은 아래를 확인하세요

 

 

www.nps.or.kr/jsppage/csa/csa.jsp

 

국민을 든든하게 연금을 튼튼하게

 

www.nps.or.kr

반응형
반응형

요즘은 주식에 대한 관심도가 상승하면서 많은 분들이 주식을 시작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주식을 시작하기전 수수료없는 증권사를 몰라서 비싼곳에서 하시는 분들이 많더군요 그래서 준비한 증권사 주식 수수료 비교입니다 증권사 주식수수료 가장 저렴한곳 아래에서 확인하세요

 

 

증권사 선택하기전 알아야하는 필수 정보

증권사를 선택하기전 자신의 주식투자 패턴을 파악하는게 좋습니다 수시로 주식을 투자하고 있다면 최대한 수수료가 저렴한곳을 선택하시거나 또한 수수료가 없는 증권사라고 할지라고 자신의 투자법에 맞는 증권사인지도 파악하는게 중요합니다

주식은 시간이 지날수록 장기간 투자로 인해 수수료가 쌓이기 때문입니다 증권사마다 주식거래를 할시 증권사에 지불하는 주식 위탁 수수료가 있습니다 그리고 증권거래세 또한 지불해야 합니다 하지만 해외에서는 거의 증권거래세는 지불하지 않지만 우리나라같은 경우 코스피 0.08% / 코스닥 0.23% / 코넥스 0.1% / 기타 0.43% 로 정해져 있습니다 하지만 코스피 증권거래세는 2023년부터는 0% 될예정이라고 합니다 이제 증권사별 행사와 이벤트 주식수수료를 비교해보겠습니다

 

 

 

증권사 행사와 이벤트를 챙겨야한다?

우리나라 증권사는 수수료 비교시 확인해야하는 필수정보는 바로 비대면 증권계좌 개설입니다 의외로 비대면으로 증권계좌를 개설하는경우 이벤트를 많이 진행하는 편으로 이벤트를 통하면 증권사 수수료를 저렴하게 이용하거나 또는 평생혜택을 내거는 증권사도 있습니다 이벤트를 잘확인하시면 우대조건으로 환전 수수료 우대 거래 수수료 무료등이 있으니 꼭 체크해봐야 합니다

 

 

증권사의 이벤트와 행사는 회사의 규모에 따라 틀리기 때문에 추천드리는 증권사 수수료 비대면 계좌개설시 큰 증권사를 선택하셔서 일년 동안 주는 위탁수수료 우대 이벤트등을 받으시는게 좋습니다 대표적으로 키움증권, 삼성증권, 미래에셋증권 같은 대규모 증권사를 이용할시 많은 이벤트와 혜택이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증권사의 혜택을 수시로 변하기 때문에 이벤트에 참여하지 않더라고 자주 확인해서 내가 받을수 있는 혜택을 수시로 체크하는게 좋습니다 비대면 계좌개설 방법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내용을 참고하시면 도움이 됩니다

 

 

각 증권사 수수료 바로보기

각증권사 수수료를 비교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각 증권사의 링크도 있으니 이벤트와 행사를 꼭 확인하시고 증권사를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증권사 신규고객 기존고객
삼성증권
[선택시 각 증권사 수수료이동]
이벤트 기간 부터시작
2021년 12월 31일 까지
위탁수수료 평생혜택

거래소 / 코스닥 / 코넥스
0.0036396%

ETF / ENT
0.0042087%

예탁 기준 금액

50만원 미만 / 0.49726%

50만원 ~ 1천만원 미만 / 0.147216%  +1,500원

1천만원 ~5천만원 미만 / 0.127216% +3,000원

5천만원 ~1억 미만 / 0.117216%

1억원 ~ 3억원 미만 / 0.097216%

3억원 이상 / 0.077216%
키움증권
[선택시 각 증권사 수수료이동]
신규고객 1개월 수수료 할인

1개월간 (캘린더 day 기준, 30일) 

유관기관 수수료/제비용 율 
0.0036396%

(2019.09.27 주식 매매분부터 적용)
0.015%
신한증권
[선택시 각 증권사 수수료이동]
2021년 12월 31일까지
위탁수수료 평생혜택
공모주 1+1행사 진행중

0.0036396%
모바일 기준으로 0.1891639%
미래에셋증권
[선택시 각 증권사 수수료이동]
2021년 12월 31일까지
국내주식 온라인거래
수수료 평생우대
주식 휴면고객 포함 

0.0036396%
0.014%
KB증권
[선택시 각 증권사 수수료이동]
주식위탁 수수료평생
비대면
0.0044792%

ETF 거래시 최대 15만원
증정

1일 1종목 추천
3개월 무료
0.1973%
한국투자증권
[선택시 각 증권사 수수료이동]
만능절세통장 ISA 이벤트
개설시 KOSPI 200 1주 지급

$150 달러 상당 해외주식
지급
0.0140527%
하나투자증권
[선택시 각 증권사 수수료이동]
이벤트 없음
주식거래시 경품 응모 지급
예탁 기준 금액

50만원 미만 / 0.2972962%

50만원 ~ 1천만원 미만 / 0.0972962%  +2,000원

1천만원 ~5천만원 미만 / 0.0972962%

5천만원이상 / 0.0772962%

월평균 약정 1억원 이상 / 0.0472962%

월평균 약정 1억원 미만~천만원 이상 / 0.0672962%

월평균 약정 천만원 미만 / 0.0972962

앞서 설명드린대로 큰 증권사에서는 다양한 이벤트와 행사를 하기 때문에 기간이 지나더라도 꾸준하게 행사와 이벤트를 기획해서 매년 한번정도는 바뀐다고 볼수 있습니다 주식을 시작하시는 분들이라면 계좌개설시 다양한 혜택을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도움이 되는 정보는 아래에 있습니다

숨은정부지원금 찾기 바로가기 숨은보험금 찾기 바로가기

반응형
반응형

기초노령연금 수급자격 모의계산 신청방법 [기초연금] 정리

많은 분들이 기초노령연금에 대한 궁금증이 많으신것 같아서 준비했습니다 많은 정보들이 있지만 쉽게 이해하실수 있도록 기초노령연금 수급자격과 신청방법 산정방법 신청기간 구비서류등 한눈에 볼수있도록 정리했습니다 자세한 기초노령연금 수급자격 모의계산 아래에서 확인하세요

 

 

  기초노령연금 제도란 어떤 제도인가요?

 

처음 이제도를 듣는 분들에게 쉽게 설명드리겠습니다 국민연금에 가입하지 못했거나 충분한 연금을 받지 못하고 경제적으로 어려운 노후를 보내는 연장자들에게 안정돈 노후생활을 도와주는 제도가 바로 기초노령연금 제도 입니다 자세한 제도 금액을 알아보겠습니다

 

 

 

  기초노령연금 금액은 최대 얼마를 받을수 있나요?

 

기초노령연금 금액은 최대 월 단독가구 30만원을 받을수 있으며 부부가구의 경우는 48만원까지로 정해져 있습니다 년도에 따라서 금액이 달라질수 있습니다 현재의 기초노령연금 금액의 상한선은 2021년 기준입니다

 

 

 

  기초노령연금 대상자 조건?

 

기초노령연금 대상자 정책은 두가지 모두 포함이 됩니다 자세한 기초노령연금 대상자는 이렇습니다

  • 대한민국 국적을 보유하고 국내에서 거주하는 사람
  • 나이는 만65세 이상이 대상자입니다
  • 가구의 소득인정액이 선정기준액 이하인 대상자만 포함이 됩니다 [가구 소득인정액은 아래에 소득인정액 산정방식을 참고하세요]
구분 단독가구 부부가구
산정기준액 1,690,000 원 2,704,000 원

기초노령연금 제외대상자

공무원연금 / 사립학교교직원연금 / 군인연금 / 별정우체국연금 수급권자 및 그배우자는 원칙적으로 기초연금 수급대상자에서 제외된다는점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소득인정액 산정방식 [계산기 포함]

 

소득인정액 = 소득평가액 + 재산의 소득환산액

소득경가액={0.7x(근로소득 -98만원)}+기타소득

  • 소득평가액 산정방법 예시
  • 월 100만원 소득의 경우  / 100만원 -98만원 x 0.7 = 14000원 [어려우신 분들은 아래 소득인정액 모의계산기를 이용하세요]
기초노령연금 소득인정액 계산기 바로가기

 

 

소득인정액 산정방식에 소득에 들어가는 종류들

1. 사업소득 [기타소득 + 임대소득]

임대소득 : 부동산, 권리, 동산 그 밖에 재산 대여로 발생하는 소득

기타사업소득 : 도.소매업, 제조업 어업, 농업, 임업 기타 사업에서 얻는 소득

 

2. 재산소득 [ 이자소득 + 연금소득]

연금소득 : 민감연금보험 , 연금저축 등 정기적으로 발생하는 소득

이자소득 : 예,적금, 주식, 채권 이자와 배당금 또는 할인에 의하여 발생하는 소득

 

3. 공적이전소득

공적이전소득 : 정기적으로 지급되는 각종 급여,수당 연금 기타 물품

[국민연금, 공무원연금 ,군인연금 ,사립하굑 교직원연금, 산재급여

 

 

4. 무료임차소득

 

 

 

  기초노령연금 신청기간?

 

연중 신청이 가능하며 만65세 생일에 속하는 달의 1개월 전부터 신청이 가능합니다 자세한 신청방법과 서류 아래에서 확인하세요

 

  기초노령연금 신청 방법

 

  • 직접 주소지 관할 읍 또는 면사무소 및 동주민센터에서 신청할수 있습니다 [오프라인 신청방법]
  • 가까운 국민연금공단 지사 및 상담센터롤 이용할수 있습니다
  • 복지로 홈페이지를 통해서 온라인 신청으로 간단하고 기초노령연금을 신청할수 있습니다 아래를 확인하세요
기초노령연금 복지로 사이트에서 신청 바로가기

 

 

 

  기초노령연금 신청 구비서류

 

  • 본인 신분증 [주민등록증, 자동차운전면허증, 장애인등록증, 여권 등]
  • 배우자의 금융정보등 제공동의서
  • 본인명의 계좌의 통장사본
  • 전,월세 계약서 [해당되는 경우에서만]

 

 

  기초노령연금 상담센터

 

  • 보건복지부 129번
  • 국민연금공단 1355번

문의를 하시면 자세한 안내를 받을수 있습니다 해당 동주민센터도 상담이 가능하니 편한곳에서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다음은 기초연금 모바일 신청 / 서면 신청 방법으로 직접 신청시 필수적으로 보시면 도움이 되는 동영상입니다

 

[기초연금 모바일 신청 방법 동영상 보기]

[기초연금 서면 신청방법 동영상 보기]

추가적으로 정부의 숨어있는 지원금 그리고 숨어있는보험금 찾기는 아래를 이용하세요

숨은 정부지원금 찾기 바로가기 숨은 보험금 찾기 바로가기

 

반응형

+ Recent posts